①광고 플랫폼 승인
티스토리는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찾아가서 본인의 주소를 입력한다.
동시에 수익란에 들어가서 애드센스와 연동을 시킨다.
주소, 자동 광고 등을 설정한다.
자동 광고의 코드를 복사해서 html에 복사해 넣고 승인을 기다린다.
구글 블로그는 3~6개월 동안 꾸준히 운영을 하는 모습을 보인다.
수입란에서 애드센스 자격요건에 충족한다면 애드센스 계정 만들기가 나온다.
자동으로 애드센스에 검토 관련된 내용과 소스를 준다.
테마 → html로 가서 애드센스 광고 소스를 넣어주고, 승인이 될때까지 기다린다.
②광고 단가
같은 방문자 비슷한 주제로 실험해봤을 때
티스토리에 달린 애드센스보다 구글 블로그의 단가가 좀 더 좋았다.
예를 들어 티스토리가 0.25이면 구글 블로그는 0.35~45 정도가 나온다.
글의 주제가 오래되고, 품질이 좋고, 방문자 계속 유입이 된다면
이 보다 더 많은 단가로 찍힐 확률이 높았다.
티스토리가 0.05로 시작하면 구글 블로그는 0.10 ~ 0.15로 시작하는 모습이 보인다.
물론 이건 질 좋은 방문자와 좋은 키워드가 있는냐에 따라 달라진다.
③블로그 개설 횟수
티스토리는 5개의 블로그를 개설할 수 있다.
구글 블로그는 계정당 100개의 블로그를 개설할 수 있다.